리눅스 환경에서 사용중이 메모리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메모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커맨드를 사용합니다.
메모리를 확인하는 커맨드는 아래와 같습니다.
free
커맨드 입력창에 free를 실행하면 메모리 정보가 표시됩니다.
[root@localhost ~]# free
              total        used        free      shared  buff/cache   available
Mem:        3703112     1333672     1414252       47852      955188     2085864
Swap:       2149372           0     2149372
표시되는 메모리 단위는 kb(킬로 바이트)입니다.
표시 단위는 옵션을 지정해 변경할 수 있습니다.
| 옵션 | 설명 | 
|---|---|
| -b | 메모리 용량을 바이트 단위로 표시 | 
| -k | 메모리 용량을 kb(킬로 바이트) 단위로 표시 | 
| -m | 메모리 용량을 mb(메가 바이트) 단위로 표시 | 
| -g | 메모리 용량을 gb(기가 바이트) 단위로 표시 | 
| -t | 메모리와 Swap 영역을 합산해서 표시 | 
옵션을 붙여서 커맨드를 실행해보겠습니다.
[root@localhost ~]# free -m
              total        used        free      shared  buff/cache   available
Mem:           3616        1301        1381          46         933        2037
Swap:          2098           0        2098
메가 바이트 단위로 메모리를 표시했습니다.
free 커맨드를 사용해 표시된 항목의 내용을 살펴 보겠습니다.
| 항목 | 설명 | 
|---|---|
| total | 메모리 전체 사이즈 | 
| used | 사용중인 메모리 | 
| free | 사용 가능한 메모리 | 
| shared | 공유 메모리 | 
| buffer | 버퍼 캐쉬 | 
| cached | 페이지 캐쉬 | 
used 항목과 free 항목을 보면서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메모리 전체 상세 성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meminfo정보를 확인해야합니다.
cat /proc/meminfo
meminfo를 출력하면 메모리 사양와 사용중인 메모리양등 상세한 정보들을 모두 볼 수 있습니다.
 
 

댓글